본문 바로가기
마음

잘 노는 사람이 성공할 거라는 착각

by kultar 2023. 1. 27.

1. 개미와 배짱이 현대 버전

 

이솝우화에 나오는 '개미와 배짱이' 이야기는 누구나 알고 있습니다. 겨울이 되자 열심히 일한 개미는 배부르고 등따숩건만 배짱이는 얼어 죽는다는 이야기입니다. 개미와 배짱이 현대판에서는 다양한 버전들이 있지만, 그중 대표적인 버전은 배짱이는 놀면서도 예술가로 성공하여 반대로 훨씬 더 배부르고 따듯하게 산다는 이야기입니다.

 

2. 미래는 근면한 사람이 아니라 놀아본 사람이 성공한다고?

 

어느 순간부터 근면, 성실하라는 이야기가 구태의연한 이야기가 되어 버렸습니다. 우리 사회에서 과거 주입식 교육의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창의적인 인재, 뭔가 남다른 인재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시작하였던 때부터 아닌가 싶습니다. 성실한 사람, 착한(순진한) 사람, 내성적인(수줍어하는) 사람은 이제 3대 악으로 여겨질 정도입니다. 과거에는 근면 성실한 사람을 최고로 쳐 주었지만 이제는 그게 아니라 창의성이 중요하니까 소위 좀 놀아본 사람이 성공하는 시대가 왔다는 이야기가 나온 지 꽤 되었습니다. 그런 말은 그럴듯한 이야기이기도 합니다. 성실하고 착하고 내성적인 사람은 왠지 재미가 없고 옛날 사람으로 보이기도 하고 말입니다.

3.매일 놀아도 전혀 창의적이지 않다면?

 

하지만 여기에도 함정이 분명히 있습니다. 분명히 매일을 놀고 있고, 워라밸(Work-Life balance)을 추구하는 삶을 사는데도 별로 창의적이지 않고 성공적이라는 생각도 안 든다면 한번 생각은 해 보아야 합니다. 욜로(YOLO)도 좋고, 다 좋은데 그러다가 기회를 놓치지는 않을지도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사람의 연령별 생애주기를 살펴보면, 나이가 많이 들어서 새롭게 뭔가 하는 경우보다 젊었을 때 벌려놓은 많은 일로 명성을 얻고, 나이 들어서도 일이 줄어들기는 하지만 어느 정도 유지되는 모양새를 띄는 경우도 많습니다. 놀아도 성공하는 사람, 물론 그런 사람도 있을 것 같기는 한데, 어쩌면 나에게 해당되지 않는 것 아닌가 생각은 해 보아야 합니다. 어떤 분야에 성공하려면 괴롭더라도 최소한 숙달해야 할 시간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그런 것 없이 나온 결과물은 창의적인 결과물이라 부르지 않고 기괴한 결과물로 취급됩니다. 창의성은 성실함을 밟고 그 위에 서 있는 것입니다.

 

4.너무 잘하려 애쓰지 말라는 말

 

요즘 들어 "너무 잘하려 애쓰지 않아도 괜찮아요. 토닥토닥." 이런 류의 책 제목이나 글귀를 많이 보게 됩니다. 상처 입은 사람들 위로해 주는 것까지는 좋은데, 사실 이 말의 정확한 의미는 "애는 쓰는데 애쓰는 것처럼 보이지 말라"는 의미로 들립니다. 왜일까요? 그렇게 애쓰는 모습은 뭔가 힙해 보이지도 않고 쿨해 보이지도 않으니까요! 노력은 뒤에서 안 보이는데서 하라는 의미입니다.

 

5. 성실한데 성공한 엔터테인먼트 분야의 구루(Guru)들은 어쩔텐가?

 

얼마 전 어도어(Adore)의 민희진 대표가 유재석 씨가 진행하는 티브이 프로그램에 나와서 인터뷰하는 내용을 본 적이 있습니다. 민희진 씨가 SM 엔터에서 소녀시대의 Gee f(x), Shinee의 콘셉트 기획을 했다고 하길래, 당시의 그런 감성을 꽤나 좋아했던 나로서는 "아 저런 감정을 의도적으로 만들어낼 수 있는 사람은 정말로 그런 감정을 경험하고 사는 행복한 사람들이겠구나?" 하고 막연하게 생각했는데, 정작 본인은 휴가도 한번 제대로 가지 못할 정도로 일해야 했고, 나중에 번아웃이 왔다고 하면서 눈물짓는 모습을 보면서 정말 묘한 생각이 들었습니다. "아니 놀지도 않고 일만 하고, 힘들다는 사람이 어떻게 이런 감성을 어떻게 만들어 내나요?"인데, 일단 결론은 가능했던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민희진 대표가 야심차게 준비한 걸그룹 NEWJEANS가 데뷔 6개월만에 빌보드 핫10095위로 랭크했고, 글로벌 히트를 보이고 있기 때문입니다.

6. 자기가 하고싶은 일이 있으면 그냥 성실하게 미친 듯이 하는 거지 뭘 그래

 

아마도 중요한 것은 성실하냐 아니냐의 문제라기보다는 정말 내가 하고 싶은 분야에서 일을 하고 있냐 아니냐의 문제일 것 같습니다. 정말 그게 자기가 원하는 일이고 하는 것마다 자기 것이 된다면야 뭐가 문제가 되겠습니까?

'마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관이 필요하다  (0) 2023.01.27
물은 아래로 흐르고 정보는 위로 흐른다  (0) 2023.01.27
맛있는 인생  (0) 2023.01.27
아이를 위한 10년 플랜  (0) 2023.01.27
때로 난폭하게 말해야 하는 이유  (0) 2023.01.27

댓글